티스토리 뷰
※ 블랜드 스페이스와 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의 차이
블랜드 스페이스 → 애니메이션을 자연스럽게 섞어줄 때 사용
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 → 특정 시점에서 애니메이션을 변환 시키고 싶을 때 사용
※ 캐릭터 블루프린트 살펴보기

① Mesh : 캐릭터 모델링의 관련
② character movement : 캐릭터 움직임과 관련 (버튼을 누르면 걷는다던가 뛰던가던가)
※ 시작하자마자 내가 만든 맵으로 시작하게 만들기
늘 파일을 열면 Default맵으로 시작을 함

프로젝트 세팅에서 맵을 내가 만든 맵으로 지정을 해주면 내가 만든 맵으로 시작할 수 있음
① 에디터 시작 맵 : 에디터가 시작되면 불러지는 맵
② 게임 기본 맵 : 다른 맵이 로드 되지 않을 때 기본적으로 불러지는 맵
1. 애니메이션 몽타주
몽타주)
시퀀서 들을 하나의 동작으로 연결해주는 기능
1) 애니메이션 - 몽타주
뼈대는 내가 만들고자 하는 캐릭터의 뼈대를 선택



2) 애셋 브라우저의 Punch Start를 DefaultGroup으로 드래그 해서 넣어주기

3) Punch1 - Punch2 - PunchEnd1 - PunchEnd2 넣어주기

4) 첫번째 줄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 - 새 몽타주 섹션 넣어서 Default 색션은 삭제하고 넣어주기


5) 나머지 애니메이션에도 색션 넣어서 애니메이션 앞에 위치 시켜주기

6) 몽타주 섹션에서 지우기를 눌러 리셋 시키기

7) 작은 네모 박스 클릭해서 Punch1과 Punch2을 연결시키기


8) 노티파이에서 노티파이 추가 - 새 노티파이 추가


9) 한개 더 만들어주고 이름 변경 후 위치 시켜주기
(아직도 펀치 중이니? 라고 물어볼 시간 정해주는 것)

10) Montage Tick Type을 Branching Point로 변경해주기

Montage Tick Type : 알림 트리거
Branching Point : 분기 지점에 다다르면 알림이 트리거 됨
Queued : 단계가 끝날 때 알림이 트리거 됨
11) 에셋 디테일 - Rate Scale에서 애니메이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

12) 애님 슬롯 매니저 - 슬롯 추가해주기

13) DefaultGroup 슬롯 - 슬롯이름 - 만들어준 슬롯으로 바꿔주기

14) 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 - 이벤트 그래프 로 들어오기


15) 블루프린트 형변환 해서 가져오기

16) as bp에 get Is Punching 노드 연결해주기

17) 가져온 IsPunching을 변수로 승격 해주기
변수로 승격 해주면 Set으로 가져와서 노드 연결을 해줌


18) 형변환과 set 연결

19) Branch가져와서 연결
Branch : 참과 거짓을 나눠주는 노드


20) True 값에 Do Once 연결
참일시 한 번만 하되 거짓이면 리셋을 해라


21) 커스텀 이벤트 추가해준 뒤 이름 바꿔주기


22) 방금 만든 Punch함수 호출해서 연결

23) 몽타주 플레이 노드를 punch에 연결
(펀치를 누르면 몽타주로 연결 해 놨던 애니메이션이 나와라)

24) Montage Play에 만들어준 펀치 몽타주를 연결해준다

25) 노티파이 만들어준 2개 넣어준다

26) 각자 Branch 연결

27) is punching 변수를 get으로 가져와 연결

28) 두 개 다 false에서 montage set next section노드 연결
거짓이라면 다음 섹션으로 넘어가라

29) 펀치 섹션 넣어주기

섹션 이름은 몽타주에서 확인하고 넣어주기

- 완성된 펀치 관련 노드

2. 걷기와 점프 노드 만들기
1) is valid 노드 추가 후 Try Get Pawn Owner노드와 연결


2) is in air 변수 set으로 가져온 후 연결

3) get movement component 노드 가져오기
get movement component : 캐릭터의 위치값을 가져오는 노드

4) is falling 노드 추가 후 Set 노드와 연결


5) 변수로 변하는 시간을 주기 위해 set으로 speed 가져오기

6) try get pawn owner에 get velocity 노드 연결
get velocity : 속도를 구하는 노드

7) get velocity에 vectorlength노드 연결 후 set과 연결
vectorlength : 벡터의 길이를 구하는 노드


8) set과 형변환 연결

'Unreal Eng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리얼엔진_시퀀서 (0) | 2021.05.26 |
---|---|
언리얼엔진_애니메이션(3) 공격모션 연결하기 (0) | 2021.05.26 |
언리얼엔진_Substance Painter와 머티리얼 연동 (0) | 2021.05.25 |
언리얼엔진_인스턴스 머티리얼(Quixel기준 머티리얼 적용) (0) | 2021.05.25 |
언리얼엔진_애니메이션(외) 카메라&이펙트&시퀀스 익스포트 하기 (0) | 2021.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