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잔 스파크 제작
1) Fountain 노드 추가
2) Gravity Force - Z 값 수치 변경
Gravity Force | 스파클의 중력값을 조절 |
3) 파티클 스폰 - Add Velocity In Cone / Sphere Location 삭제
4) 이미터 업데이트 - Spawn Particles from Other Emitter
Spawn Particles from Other Emitter | 다른 이미터의 위치에서 스파클이 형성되게 함 |
5) 파티클 읽기 에 이전 큰 외부광선의 이미터 노드 이름 삽입
6) Spawn Particles from Other Emitter - Spawn Rate의 값을 올리고 Spawn Rate 삭제 하기
7) Sample Particles From Other Emitter - Velocity Sampling - Apply to Attribute
하지만, Velocity가 없어서 효과는 없음
8) 파티클 스폰 - Vector Noise Force 추가
9) 파티클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Initialize Particle - Sprite Size를 변경하기
10) 파티클 업데이트 - Collision 추가
Collision | 스파클이 물리를 가지게 하는 노드 |
11) 이미터 프로퍼티 - Local Space 체크
12) 물체에 파티클이 튀기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Collision - Bounce의 값을 0으로 만들기
13) Scale Color - Scale RGB 값을 제거하기
14) Initialize Particle - Color의 색을 파란색으로 변경하기
'Unreal Eng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리얼엔진_머티리얼(노말 맵 베이킹) (1) | 2021.12.13 |
---|---|
언리얼엔진_나이아가라(에너지볼 제작6) (0) | 2021.12.10 |
언리얼엔진_나이아가라(에너지볼 제작 5) (0) | 2021.12.10 |
언리얼엔진_나이아가라(에너지볼 제작4) (0) | 2021.12.10 |
언리얼엔진_나이아가라(에너지볼 제작3) (0) | 2021.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