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유리 제질 만들기

1) 머티리얼 추가

 

2) Blend Mode를 Translucent

유리 제질 표현을 위해 투명으로 바꿔주는 것

 

3) 벡터3(검정색)을 베이스 컬러에 넣어줌

 

4) Scene Color 노드와 벡터3 노드(유리의 색)을 추가해준 뒤 색 노드를 파라미터로 변환해줌

 

5) Scene Color와 틴트 컬러를 곱해줌

 

6) 강도 조정을 위해 벡터1 노드를 파라미터 변환하여 추가

 

7) 반전된 결과를 얻기위해 1-X 노드 추가

 

8) 값을 Multiply로 연결 해준 뒤 이미시브에 연결해줌

오퍼시티에 값을 넣는대신 이미시브에 값을 넣는 이유

→ 리플렉션이 일관되게 밝아진다

 

 

 


 

 

2. 모서리에만 색 넣기 (버텍스 패인팅)

1) 페인트 탭에서 컬러 모드를 RGB Channel로 설정한 뒤 모서리 부분만 흰색으로 칠해주기

 

2) 머티리얼 노드에 Vertex Color 노드 추가

 

3) 곱하기로 이미시브에 연결

 

4) 노드 복사

 

5) 복사한 노드의 이름을 바꾼뒤 흰색으로 색 변경

 

6) Vertex Color에 1-X노드를 추가하여 영역을 반전

 

7) 곱하기로 노드 연결

 

8) add 노드로 전체 연결해 준 뒤 이미시브에 연결

 

 


 

 

3. 유리 품질 개선

1) 디테일 - Translucency - 라이팅 모드 - SurfaceForwardShading

→ 반투명 효과 중 가장 좋은 퀄리티

 

2) 러프니스에 파라미터를 연결하고 값은 0으로 지정

 

3) 디테일 - 머티리얼 - Two Side(양면)선택

 

※ 스파이럴 블러

 

1) 씬 색상 노드 삭제 한 뒤 spiral blur scene texture노드를 기존 노드에 추가

 

2) spiral blur scene texture노드를 오퍼시티에 추가

 

3) 파라미터 노드를 추가하여 이름 변경하고 spiral blur scene texture노드의 거리에 연결

→ 불투명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Unreal Eng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리얼엔진_나이아가라(불제작2)  (0) 2021.12.09
언리얼엔진_나이아가라(불제작1)  (0) 2021.12.09
언리얼엔진_정리2  (0) 2021.06.28
언리얼엔진  (0) 2021.06.24
언리얼엔진_  (0) 2021.06.1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