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에 알아보기 전 우선 영화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영화는 놀라운 매체로 기본적으로 예나 지금이나 같은 매체이다. 위의 사진은 머어브리지의 '달리는 말'이라는 사진으로 차례대로 진행되는 직사각형들의 모임이다. 여기서 chris milk는 현대적이며 발달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즉 다른 방식으로 이야기를 전달하고 다른 종류의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해 우리가 100년 동안 사용해온 전통적 영화제작 도구를 사용하면 전달할 수 없는 이야기들을 전달 할 수 있는 발달된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을 궁금해 했고, 그는 한 가지 실험을 하게 된다. 이 ‘황무지 시내로’ 라는 곡 첫 부분에 사람들이 성장해온 지역 주소를 입력하면 새 윈도위 창이 뜨고 그 창은 점점 커지게 된다...
2011년 스티브 잡스를 죽음으로 몰고 간 ‘췌장암’은 암 중에서도 가장 독한 암으로 꼽힌다. 암 진단을 받고 5년 동안 생존할 확률이 7.6%에 불과하고, 치료해도 2년 안에 다시 발생하는 비율이 80% 이상일 정도로 치명적이다. 문제는 이 암이 상당히 커질 때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다는 점이다. 게다가 췌장은 위 뒤에 숨어서 몸통 깊이 자리해 엑스레이나 복부초음파 검사로 암을 발견하기 어렵다. 췌장암 환자의 85%가 암 말기에 진단받고, 생존 확률도 2%에 못 미친다. 그동안 췌장암의 발견이 어려웠던 이유는 췌장암 검사방법이 60년 전부터 사용했던 방법이었고, 이 진단 기술로 검사를 받는데 800달러가 소요되며 너무 부정확해서 췌장암 종류의 30%이상을 감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진단법이 ..
홀로그램에 말하기에 앞서 지금으로부터 수천년전 컴퓨터가 개발된 최초의 100년간을 돌아보자. 이 시기는 인류 역사에서 삶의 공간이 2차원에 머물렀던 유일한 시기이며, 우리 스스로가 기계가 된 듯이 기술과 소통하던 흥미롭지만 별난 시기이다. 사람들은 화면을 마주하면서 서로 소통하며 개개인의 삶을 즐긴 것이다. 그렇다면 오늘날 사람들은 많은 시간들을 화면을 보고 터치하며 살고 있는데, 서로간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변했을까? 사람들은 모니터와 픽셀의 2차원세계에 제한되어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소통하려는 욕구가 있고 이 2차원적 세계에서 벗어나 좀 더 자유로워지는 세계가 바로 ‘가상현실’이다. 그리고 가상현실을 실제와 겹쳐지게 하는 기기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홀로렌즈’이다. 완전히 무선으로 작동하는 홀로렌즈는 3..
저번주에는 웹 디자인에 대해 조사를 해보았고 이번 주에는 편집 디자인에 대해 조사를 해보았다. 편집디자인(editorial design)의 에디토리얼(editorial)이라는 어휘를 직역하면 ‘편집의’ 또는 ‘편집상에 관한’ 이라는 뜻이며 신문이나 잡지, 서적, 팸플릿(팜플릿) 광고, 그리고 그 외의 책자형식의 인쇄물들을 시각적으로 구성하는 시각디자인의 한분야인 그래픽 디자인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즉,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일러스트레이션, 사진, 여백, 종이, 인쇄방법의 선택 등을 그 내용으로 한다. 쉽게 말하자면 글과 그림의 위치, 공간의 배분을 결정해 좀더 아름답고 편하게 읽히도록하는 것이다. 하지만 눈에 잘 띄게 하는 편집 과정은 웹과 책, 명함, 어디에서나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디자인이..
이번 주는 스마트 폰과 인터넷 사용량이 늘은 현대인들이 많이 접하는 디자인인 웹디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웹 디자인(web design)은 웹브라우저가 해석하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로 보여 주기에 알맞은 마크업 언어 형식으로 인터넷을 통해 전자 매체 콘텐츠 전달의 개념을 정하고 계획하고 모델로 만들어 실행하는 과정이다. 웹 디자인의 목적은 웹 사이트를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웹 사이트에는 전자 파일이 한데 모여 있고, 웹 서버/서버에 상주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요청한 웹 페이지 형식으로 콘텐츠와 상호작용 기능/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텍스트, 비트맵 그림 (GIF, JPEG, PNG), 폼과 같은 요소들은 HTML/XHTML/XML 태그를 사용하는 페이지 위에 놓을 수 있다. 벡터 그래픽스, ..
저번시간에는 중국의 전통 디자인에 대해 조사를 해보았고 이번에는 문화 영향을 서로 많이 주고받았던 일본의 전통 디자인 중 의복에 대해 조사를 해보았다. 일본인들은 기모노를 “감춤의 미학”이라고 이야기하는데, 노출하지 않으며 여미고 조여서 감추어 아름다움을 표현한 전통 의상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기모노는 기본적으로 원피스 형태로 자신의 키에 맞추어 길이를 조절하고 고름이나 단추가 없으며 오비라는 허리끈으로 고정시키는 형태이며, 주머니도 없기 때문에 대신 소매끝부분을 사용한다. 기모노는 '양(洋)'과 반대되는 '화(和)'란 말을 붙여 "와후쿠(和服)"라고도 한다. 외형적으로 볼 때 기모노는 앞에서 여미고 허리에 오비(帯)를 둘러 입는 원피스 형식의 의복으로, 양복과 같이 단추 등을 사용하지 않..
저번시간에는 우리나라의 전통에 대해 조사 해보았다. 이번시간에는 가까우면서도 문화적으로 많은 교류가 있었던 나라중 하나인 중국의 전통 디자인에 대해 알아보자. 일단 중국의 전통의상 특징인 파오는 소수민족이나 유목민족 지구에서 유행했으며, 일반적으로 말 타기나 활쏘기 등 격렬한 활동을 하기에 편리하도록 몸에 꽉 끼는 것이었다. 이러한 파오는 대체로 옷깃을 왼쪽으로 여미고 소매가 좁으며 품이 몸에 맞았다. 역사적으로 한족들도 이렇게 몸에 꽉 끼는 스타일의 파오를 여러 차례 수용한 적이 있었는데, 조(趙)의 무령왕(武靈王)이 추진한 호복(胡服 : 북방 유목민족 복장) 차림의 말 타기와 활쏘기가 비교적 전형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당대(唐代)에도 호복(胡服)은 일시에 유행하였는데, 개원(開元: 713~741..
K-POP 등 여러 우리나라 문화들이 전 세계에 알려지고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번에는 저번 주제와 비슷하게 우리 문화의 세계화 중 한복에 세계화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해보았다. 대한민국의 문화 콘텐츠가 아시아 국가들에 많이 소개되면서 대한민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복을 입어보는 행사나 한복을 사가는 경우가 상당히 늘어나고 있으며 비슷한 예로 중국의 신혼부부들이 한복을 예단의 한 종류로 구매하는 경우도 적잖게 나타나고 있어 현지 업체와 한복 업체가 제휴하여 활동하고 있다. 한편, 문화관광부와 민간이 참가한 한복 패션쇼와 전시회는 전 세계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일부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을 주는 소재가 되기도 한다. 한복디자이너 이영희가 디자이너 이신우와 함께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